[Part3] 세번째 회의 - 프로젝트 방향 제대로 설정
각자 VR 운전 시뮬레이션 관련 자료 조사해보고 각자 토론해본 뒤에 본 프로젝트의 방향을 정함. 아래는 팀원의 회의 관련 자료이고 민혜 부분이 내가 준비한 회의 관련 자료 1. 개발 방향 결정 유니티 기반, 실제도로를 구현한 VR 운전 시뮬레이터 -> 도로 데이터를 직접 수집 유니티 기반, 실제도로를 구현한 VR 운전 시뮬레이터 -> ai hub에서 데이터 다운 유니티 기반, 실제도로를 구현한 VR 운전 시뮬레이터 -> 유니티 asset에서 그래픽 구매-> 시간 관계상 유니티 에셋을 구매하여 그래픽을 구현하기로 함 2. 개발 범위(유니티 기반, 그래픽토로 VR 운전 시뮬레이터) 유니티, c# 사용하여 개발 그래픽은 유니티 asset에서 구매 시뮬레이터 구현 사용자 운전 능력 채점을 위한 ai 모델 개발 ..
- Project/VR 기반 운전 시뮬레이션: 안전 "안전 운전만해" 프로젝트
- · 2021. 12. 30.
[Part2] 두번째 오프라인 회의
SK 텔레콤 회의실에서 진행 - 거기로 취준하고 싶당 ㅎ 1. 기획서 작성에 들어가야할 내용에 대한 정리 2. 작성할 설계 보고서, 어떤 내용이 들어가야하는지에 대한 정리 3. 프로젝트 스케줄링 및 목표 정하기 1. 서비스: 시장성 조사 - 국 내외 어떤 시장을 목표로 하나? 현재까지 어떤 기술이 있나? 를 조사하여 본 프로젝트의 목표, 및 기술 설정 2. 프로젝트의 범위를 어디까지 할 것인가? 인공지능: 어떻게 데이터를 수집하여 학습 시킬 것인가? 화면설계: VR로 어떤 도로를 구현, 도로에 제약 조건을 둬서 한정된 도로에서만 진행할 것인가? 하드웨어 설계
- Project/VR 기반 운전 시뮬레이션: 안전 "안전 운전만해" 프로젝트
- · 2021. 12. 30.
![[연구실] VGG-16 결과](http://i1.daumcdn.net/thumb/C120x120/?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w6yGj%2Fbtrbmzlbpqv%2FQ5UqSDC9iO9TxFSmVnFP6K%2Fimg.png)
[연구실] VGG-16 결과
현재, VGG-16 모델을 변형하여 이미지 정보 추출하는 Vector를 result 값을 반환하도록 하였다. 원본이미지 data -> train 폴더 90도 오른쪽 회전 -> rotate 폴더 좌우 반전 -> mirror 폴더 어둡게 50 -> dark 폴더 밝게 100 -> bright 폴더 각 train data와 나머지 noise data 를 비교하여 가장 Similarity가 높은 Top - 4를 뽑아내었다. 1. 100개의 이미지가 얼마의 similarity 값으로 TOP-4이 되었는가?? 2. 검토 1) 어떤 종류의 noise image를 detect 못하는가? 2) Top-4에서 index 일치하는 image들의 대략적인 similarity 값? 3. 각 결과를 matplotlib를 이용하여..
- Project/NFT 블록체인을 활용한 딥러닝 기반 사진 거래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
- · 2021. 8.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