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게임 서버 공부를 하다가 .Net Core로 Visual Studio 프로젝트를 만들어야하는 것을 .Net Framework로 만들어버렸다. 2. 해당 프로젝트를 바꾸고난 후에 원격으로 위에서 만든 레포지토리에 push를 하려고 하니 오류가 떴다 -> pull을 안해줬다는 뜻 3. 하지만 솔루션의 이름이 바뀌었기 때문에 pull을 할 수 없어서 강제 push를 했더니 commit 기록이 아예 사라졌다. 원래 강제 푸시를 하면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강제 푸시는 조심히 사용하자!
패킷 단위로 보내고 받는다면 Session이 어떻게 달라져야하는가?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받을때 패킷 단위로 받고 클라이언트에서 패킷 단위로 보내자! 1. TCP 통신에서는 패킷이 전체가 왔는지 잘려서 왔는지 구분할 필요가 있다. -> 혼잡 제어로 인해 전체 패킷을 받는다는 보장이 x 1) packetId: id를 통해 패킷을 구분(1번: 이동 패킷, 2번: 공격 패킷, 3번: 이동패킷) -> 문제: 경우에 따라 유동적으로 packet의 사이즈가 줄어들 수 있음 ex) Packet을 상속받는 LoginOKPacket이 캐릭터가 갖는 캐릭턱 정보의 리스트를 보낸다고 할때 쉽게 Packet의 사이즈를 예측 할 수 없다. => Packet의 맨 처음에는 Packet의 사이즈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형..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