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열
- 기본적으로 String으로 표현
- 큰 따음표, 작은 따음표, 백틱으로 모두 표현 가능
const name = "Mike";
const age = 30;
const name1 = "Mike";
const name2 = 'Mike'; // 작은 따음표로도 표현 가능
const name3 = `Mike`; // 백틱으로도 표현 가능
console.log(name1); // Mike
console.log(name2); // Mike
console.log(name3); // Mike
console.log(name1 === name2); // true
console.log(name1 === name3); // true
- 백틱은 문자열 변수를 표현해줄 때 사용하기 편리
const name = "Mike";
const age = 30;
const message = `나는 ${name}이다. 나이는 ${age}살이다.`;
console.log(message); // 나는 Mike이다. 나이는 30살이다.
C:\Users\ddl06\Desktop\Development\Javascript>node index.js
나는 Mike이다. 나이는 30살이다.
숫자형
- 말 그대로 숫자
- 사칙연산도 가능
const age = 30; // 숫자형 Number
const PI = 3.14;
console.log(1 + 2); // 3
console.log(10 - 3); // 7
console.log(10 * 2); // 20
console.log(10 / 2); // 5
console.log(10 % 3); // 1
C:\Users\ddl06\Desktop\Development\Javascript>node index.js
3
7
20
5
1
만약 "문자열"을 숫자로 나누면 어떻게 되는지?
- NaN: Not a Number라는 것이 뜬다
- ❕해당 NaN을 주의하면서 코딩해야한다.
const name = "Mike";
const age = 30; // 숫자형 Number
console.log(name / 2); // NaN
C:\Users\ddl06\Desktop\Development\Javascript>node index.js
NaN
Boolean
- true 혹은 false의 값
const name = "Mike";
const age = 30; // 숫자형 Number
console.log(name == 'Mike'); // true
console.log(age < 10); // false
C:\Users\ddl06\Desktop\Development\Javascript>
node index.js
true
false
null과 undefined
- undefined
- 변수를 선언만하고 아무것도 할당하지 않으면 undefined
- null
- 변수에 null을 할당한다면, 해당 변수에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 null과 undefined
let user;
console.log(user); // undefined
let user2 = null;
console.log(user2); // null
C:\Users\ddl06\Desktop\Development\Javascript>node index.js
undefined
null
typeof 연산자
typeof 연산자를 통해 변수의 연산자를 알아낼 수 있음
- 아래의 예시 코드를 통해 각 변수의 연산자가 어떻게 나오는지 확인!
const name = "Mike";
console.log(typeof 3);
console.log(typeof name);
console.log(typeof true);
console.log(typeof "xxx");
console.log(typeof null);
console.log(typeof undefined);
C:\Users\ddl06\Desktop\Development\Javascript>node index.js
number
string
boolean
string
object
undefined
Tips!
- 문자열에 + 연산자를 사용하면 문자열이 연결되어 사용된다.
- 문자열 + 숫자를 사용하면 숫자가 문자열처럼 표현된다.
const name = "Mike";
const a = "나는 ";
const b = "입니다.";
console.log(a + name + b); // 나는 Mike입니다.
const age = 30;
console.log(a + age + "살" + b); // 나는 30살입니다.
수의 연산
기본적으로 Javascript가 가지고 있는 연산: Math 객체를 사용
- 제곱: Math.pow(a, b) = a ^b
- 반올림: Math.round(a)= a를 반올림
- 올림: Math.ceil(a) = a를 올림
- 내림: Math.floor(a) = a를 내림
- 제곱근: Math.sqrt(a) = a의 제곱근
- 난수: Math.random() = 0부터 1.0 사이의 랜덤한 숫자
Math.pow(3,2); // 9, 3의 2승
Math.round(10.6); // 11, 10.6을 반올림
Math.ceil(10.2); // 11, 10.2를 올림
Math.floor(10.6); // 10, 10.6을 내림
Math.sqrt(9); // 3, 3의 제곱근
Math.random(); // 0부터 1.0 사이의 랜덤한 숫자
'Language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기초 강좌: #1 변수 (0) | 2025.03.20 |
---|